호흡기장애 등급 판정기준 2019년 개정판




<폐기능검사>





호흡기 장애 판정기관 및 전문의

1.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흉부
외과·소아청소년과·결핵과 또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2. 장애진단을 하는 전문의는 원인질환 등에 대하여 1년 이상의 충분한 치료 후에도 장애가 고착되었음을 정기적 흉부 X-선 소견, 폐기능 검사, 동맥혈가스검사 등을 포함한 진단서, 소견서 진료기록 등으로 확인 하여야 한다.(필요시 환자에게 타병원 진료기록 등을 제출하게 한다.)


호흡기 장애 진단 및 재판정 시기

1. 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최근 2개월 이상의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는 만성 호흡기 질환의 경우에 장애를 진단한다.
2. 수술 또는 치료로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장애진단을 처치 후로 유보하여야 한 다. 다만, 1년 이내에 국내 여건상 그 수술이 쉽게 행하여지지 아니하는 경우와 장애인의 건강상태 등으로 인하여 수술 등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로 하되, 국내 여건의 변화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시기를 지정 하여 재판정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3. 최초 판정일로부터 2년 이후의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재판정을 하여야하며, 재판정 시에 장애상태의 현저한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에는 다시 재판정일로부터 2년 이후의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재판정을 하여야 한다. 다만, 재판정 당시 장애의 중증도나 연령 등을 고려할 때에 장애상태가 거의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재판정을 제외할 수 있다. 4. 폐이식의 경우는 재판정을 제외한다



간 장애 등급 판정 개요

1. 충분한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만성 호흡기 질환임을 확인해야 한다.
2. 장애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장애판정 직전 1년 이내에
 ① 호흡곤란 정도 판정, 
 ② 흉부 X-선 촬영, 
 ③ 폐기능 검사, 
 ④ 동맥혈 가스 검사 
등에 의한 객관적인 검사소견이 있어야 하며, 이밖에 필요한 경우 호흡기질환에 따라 흉부 CT, 기관지내시경,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 폐 환기-관류 동위원소 검사, 폐동맥 촬 영술 등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하여야 한다.
3. 최소 2개월 이상의 반복적인 검사결과 중 양호한 상태의 검사결과로 판정한다.
4. 폐기능 검사는 표준화된 검사에 의하며 1회 검사 시 3차례 시행된 검사결과 중 가장 좋은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장애정도를 판정한다. 기관지확장제 반응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외상이나 수술에 의한 경우에는 기관지확장제 반응검사를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
 ①폐기능 검사는 기관지확장제 반응검사에 양성인 경우 (예를 들어 기관지확장제로 1초시 강제호기량이 200ml이상 상승하고 비율도 12% 이상 증가한 경우) 3개월 이상의 적극적인 치료 후 다시 평가한다. 
 ②3개월 이상 적극적인 치료에도 기관지확장제 반응검사에 양성이면서 폐기능이 호전이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면 판정을 할 수 있다.

<1초시 강제호기량 (FEV1) 측정>


Previous
Next Post »